삼성, 대기업 시총 1위 유지...SK 2위 재탈환

김영택 기자 / 기사승인 : 2025-01-30 11:47:36
  • -
  • +
  • 인쇄
삼성전자 주가 부진으로 5년래 최저, HD현대·한화 순위 급상승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삼성그룹이 2023년 국내 대기업그룹 시가총액 순위에서 1위 자리를 지켰으나, 그 규모는 5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SK그룹은 3년만에 시가총액 2위 자리를 재탈환했다.


한국거래소가 3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삼성그룹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기준 543조333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44% 감소했다.

이는 201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의 주가가 32.23% 하락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SK그룹은 202조7280억원의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3년 만에 2위 자리를 탈환했다.

SK그룹의 시총은 전년 대비 12.81% 증가했는데, 이는 SK하이닉스의 HBM 반도체 경쟁력 우위와 그에 따른 22.90%의 주가 상승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LG그룹은 144조6460억원으로 시총이 23.88% 감소하며 3위로 한 계단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의 주가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그룹은 141조6520억원으로 4위를 유지했다.

주목할 만한 변화로는 HD현대그룹의 급상승이 있다. HD현대그룹은 시총이 123.93% 증가한 76조840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10위에서 5위로 5계단이나 순위가 상승했다.

이는 HD현대마린솔루션의 상장과 조선업 호황에 힘입은 결과로 해석된다.

한화그룹 역시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조선 및 우주항공 계열사의 주가 강세에 힘입어 11위에서 8위로 올라섰다.

반면, 롯데그룹은 13조770억원의 시총으로 19위까지 순위가 하락했다. 이는 2022년 11위, 2023년 12위에 이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시가총액 순위 변동은 각 그룹의 주력 산업 경쟁력과 시장 환경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조선, 우주항공 등 첨단 산업 분야의 성과가 그룹 전체의 시총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경주 APEC] 이해진 네이버 의장,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동맹 공식화2025.10.31
삼성전자-엔비디아,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5만개 GPU 도입2025.10.31
고려아연 "법원 결정 존중… 영풍·MBK 적대적 M&A 반드시 저지할 것"2025.10.31
‘더샵 오산역아크시티’ 분양, 오산 최고층 44층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2025.10.31
LG전자, 美 관세·전기차 캐즘에도 가전·전장 '최대 실적'…3분기 영업익 6889억2025.10.31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