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절반 부실기준 초과…중앙회 "일시적 현상" 해명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5 12:13:15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전국 새마을금고 절반 가까이가 금융당국의 부실채권 관리기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권역에서는 부실비율이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며 지역 금융 불안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이같은 상황이 건전성 관리 과정에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이라며 전반적으로는 건전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예산결산특별위원장)이 5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기준 전국 1267개 새마을금고 중 623곳(49.2%)이 고정이하여신 비율 8%를 초과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전체 대출 중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의 비중으로, 8% 이상이면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해석된다.

권역별로는 전북이 15.3%로 가장 높았고, 부산 13.45%, 경기 11.95%, 대구 11.77% 순으로 전국 평균(10.73%)보다 높았다.

새마을금고가 자체 감독기준으로 삼는 고정이하여신 비율 9%를 넘어 '위험 금고'로 분류된 곳은 전북 59곳 중 32곳(54.2%), 경기 109곳 중 48곳(44.0%), 부산 137곳 중 56곳(40.9%), 인천 51곳 중 16곳(31.4%) 등으로 집계됐다.

연체 규모도 심각한 수준이다. 전국 새마을금고의 연체액은 15조2124억원에 달했으며, 지역별로는 경기 3조8000억원, 서울 2조8532억원, 대구 1조2981억원 순이었다.

전국 평균 연체율은 8.37%였지만, 부산(10.32%), 대구(9.76%), 전북(9.66%), 경기(9.48%), 인천(8.79%) 등은 모두 이를 상회했다.

개별 금고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대구의 한 금고는 부실비율이 46.68%에 달했고, 또 다른 대구 금고는 연체율이 59.27%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병도 의원은 "통합공시시스템 도입이 금고 정상화 첫 단추라면, 구조개선은 반드시 끼워야 할 두 번째 단추"라며 "정부·중앙회·개별 금고가 합심해 부실채권 정리에 속도를 내야 예금자 신뢰를 되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자본잠식 상황이 부동산·건설업 경기침체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 등 적극적인 건전성 관리 과정에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이라고 해명했다.

중앙회는 "2025년 6월 기준 전체 새마을금고의 순자본비율이 7.68%를 유지하고 있어 감독기준인 4%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새마을금고가 전반적으로 건전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2023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총 26개 새마을금고 합병을 완료했으며, 이 과정에서 고객의 예금 및 출자금은 전액 새로운 우량금고로 안전하게 이전됐다"고 설명했다.

중앙회는 아울러 완전자본잠식 23개 새마을금고 중 4개 금고 합병이 이미 완료됐으며, 나머지 금고에 대해서도 자본잠식 해소를 위한 구조개선 또는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서울 집값 소폭 상승세 지속..공급대책 발표 주시2025.09.05
서울 민간아파트 ㎡당 분양가 2천만 원 첫 돌파..'국평 17억'2025.09.05
카드사 상반기 순이익 18.3% 감소...연체율 10년 반 만 최고2025.09.05
KB증권, 디지털 PB팀 출범·우수고객 멤버십 서비스 고도화2025.09.05
KB금융, HD현대사이트솔루션과 해외시장 동반 진출2025.09.0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