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가계대출의 급증으로 인해 금융당국이 은행권 임원들을 긴급히 소집하여 대출 관리를 주문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2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및 5대 시중은행과 함께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했습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6조 원 증가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 상호금융 및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소폭 감소했지만,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달 5조4천억 원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2월과 3월에는 각각 1조9천억 원, 4조9천억 원 감소했으나, 4월 들어 다시 4조1천억 원 증가하면서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4월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 확대의 주요 요인은 주택거래 회복,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대내외 경제 압력 등입니다.
금융위는 "3% 후반대 대출금리가 유지되면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과 일반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성 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확대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전반적인 가계부채 증가세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긴장 모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융위는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주택시장 회복 양상 등을 근거로 향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습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차주의 상환 능력을 고려한 대출이 일선 현장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는 과도한 대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권 사무총장은 "가계부채 전반에 '갚을 수 있는 만큼 빌리고 처음부터 나눠 갚는 대출 관행'을 확립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적기 대응'을 강조하며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예의주시할 방침입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