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한국산 K9 자주포가 세계 시장을 석권하며 수출 확대가 전망된다.
30일 업계와 세계 각국 관련 기관의 조사를 종합한 결과, K9은 세계 자주포 수출 시장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산 수출의 특성상 정확한 통계 집계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K9의 시장 점유율은 여러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50%선을 넘나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K9은 2000년대 들어 155㎜ 자주포 시장에서 52%의 수출 점유율을 기록했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세계 자주포 수출 시장에서 K9이 527문 판매돼 48%의 점유율을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독일 PzH2000 189문, 프랑스 CAESAR 175문, 중국 PLZ-45 128문의 판매량을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다.
K9의 성공 요인으로는 실전에서 입증된 성능, 경쟁력 있는 가격, 신속한 공급과 원활한 후속 지원 등이 꼽힌다.
K9은 연평도 포격전 등에서 그 성능을 입증했으며, 대량 생산을 통한 규모의 경제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세계 자주포 시장의 성장세에 따라 K9의 수출 전망도 밝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페리컬 인사이트에 따르면, 자주포를 포함한 세계 곡사포 시장 규모는 2023년 330억 달러에서 2033년 788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업체는 곡사포 핵심 제조사 목록에서 K9을 생산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가장 먼저 언급했다.
K9은 1989년 연구 시작 후 1999년 전력화에 성공했다. 2001년 터키를 시작으로 폴란드, 인도, 핀란드,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호주, 이집트, 루마니아 등이 도입을 결정했다.
최근에는 베트남으로의 수출이 임박해 11번째 'K9 유저 클럽' 탄생을 앞두고 있다.
K9의 지속적인 성능 개선과 글로벌 방위 산업 시장의 확대로, 한국의 대표적 방산 수출 품목인 K9 자주포의 해외 시장 확대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