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직거래 급증..보유세 대신 증여

박남숙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2 13:42:01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올해 서울에서 공인중개사를 거치지 않고 직거래로 아파트를 매수한 사례가 지난해보다 40% 넘게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 21일까지 서울 아파트 직거래 매매 건수는 269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881건)보다 43% 늘었으며, 2023년 동기(2117건) 대비로도 약 27% 증가한 것으로 이는 관련 통계가 공개된 2021년 11월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직거래는 공인중개사 없이 매도자와 매수자가 직접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전문가들은 서울 집값 상승세 속에 가족 등 특수관계인 간 ‘증여성 거래’가 급증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구로구(438건)가 가장 많았고, 강서구(225건)와 은평구(206건)가 뒤를 이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서는 총 254건, 용산구에서는 전체 아파트 거래의 약 11%(132건)가 직거래로 이뤄졌다.

이같은 직거래 사례는 가족 간 증여 목적의 거래 확대와 관련이 깊을 것으로 추정된다. 

 

집값이 오르는 시기에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부모와 자녀, 친척 등 특수관계인 간 거래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행법상 가족 간 부동산 거래는 시세보다 30% 낮거나 최대 3억 원 저렴하게 거래하더라도 정상 거래로 인정된다.

 

실제로 집값 상승과 더불어, 보유세 등 세제 개편에 대한 움직임이 나타나자 집을 증여하는 이들이 크게 늘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9월 서울 집합건물(오피스텔·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 등) 증여를 이유로,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한 0~18세 미성년자 수증인 수는 18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131명과 비교할 때 42.7% 증가한 수치다.

 

대출 규제 강화의 여파도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6·27 대출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되면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한 목적도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사상 첫 3940선 돌파…'사천피' 눈앞2025.10.24
서울 전세 매물 잠김 현상..전세 월세화 가속화 되나2025.10.24
"10·15 부동산 대책 부정 평가가 긍정보다 많아"2025.10.24
농협은행 금융사고 절반은 '내부 소행'..."기강해이 심각"2025.10.24
NH농협은행,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 도입2025.10.2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