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시아 재무부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스탄불) 박정원 특파원] 러시아가 자국에서 글로벌 기업들의 이탈이 잇따르자 강제로 기부금을 납부하게 하며 압박을 가하기 시작했다.
28일(현지시간) 해외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러시아 재무부 외국인투자감시위원회는 ‘비우호국’ 출신의 외국인 투자자가 러시아에서 철수할 경우 자산 매각가의 최소 10%에 달하는 현금을 기부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조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해 러시아가 ‘비우호국’으로 명명한 국가 출신의 외국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러시아에서 철수하려는 비우호국 출신 기업은 자산을 처분할 때 자산 평가 보고서에서 제시된 시장가치의 최소 10%를 ‘출국세’ 형식으로 러시아 연방 예산에 납부해야 한다.
그간 러시아 당국은 자국에서 철수하는 외국 기업들에게 매각한 자산의 10%를 러시아 연방 예산에 ‘자발적 기부’를 하거나, 매각 대금을 몇 년에 걸쳐 분할해 받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그간 러시아 당국은 자국에서 철수하는 외국 기업들에게 매각한 자산의 10%를 러시아 연방 예산에 ‘자발적 기부’를 하거나, 매각 대금을 몇 년에 걸쳐 분할해 받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이번 조치로 선택권은 사라지게 됐다.
러시아 로펌 ‘네크로토프, 사벨리예프 앤 파트너스’의 일리야 라흐코프는 “기존 방식과 새로운 규정 사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회사들이 더이상 (기부에 대해) 선택권이 없다는 것”이라며 “사실상 부동산 압류와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아직 철수를 완료하지 못한 서방 기업들의 상황은 이번 조치로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국유화 위협 등에 따라 러시아에서 철수하지 못하고 있는 기업도 다수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해 12월 자국에서 철수하는 기업의 자산 매각과 관련해 시장 가치의 50%를 인하할 때만 매각을 허용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실제로 러시아에서 철수한 기업 다수가 크게 평가절하된 가격으로 사업체를 매각했다. 르노자동차는 지난해 1루블(약 18원), 닛산자동차는 1유로(약 1390원)에 러시아 내 자회사 지분을 양도하고 러시아에서 철수했다.
![]() |
러시아에서 사업 철수한 르노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 박정원 특파원(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