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의 연체율 급등세가 이어지자, 건전성 지표 관리에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저축은행중앙회는 저축은행에 내달 3일까지 부실채권 수시상각 신청을 받는다는 내용의 공문을 전달했습니다.
이는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규모를 파악하는 동시에 수시상각을 실시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방편입니다.
이처럼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정리에 비상이 걸린 이유는 작년 연말 저축은행 연체율이 무려 6.55%까지 치솟았기 때문입니다.
불과 1년 사이 3.14% 포인트가 올라 12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것입니다. 즉 자산건전성이 악화되면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특히 올해 1분기말 연체율은 7∼8%로 상승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에 금융당국은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금융업계에서는 저축은행의 연체율 상승 배경으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 상승이 주요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작년 연말 기준 저축은행 PF 대출의 연체율이 전 업권 중 가장 높았습니다.
부동산 PF 부실 우려로 기업대출 환경이 어려워지자, 저축은행들은 앞다퉈 가계대출 규모를 늘리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실제로 금감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이 취급한 중금리 대출 규모는 1조77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1085억원) 증가했습니다.
작년 1분기 저축은행 민간중금리대출 규모가 전년 대비 40% 줄어든 것과 상반된 결과입니다. 민간중금리대출은 신용평점 하위 50% 차주에게 실행되는 대출입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부동산 경기침체로 PF 대출 연체가 증가하면서 대출에 대한 기준 강화와 부실채권 관리 점검 나서고 있다”면서 “가계대출 증가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