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의 성공을 위한 금융기관간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정부와 민간 금융권이 손잡고 총 150조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해 인공지능(AI) 등 첨단전략산업 육성에 나선다.
금융당국은 이번 펀드 조성을 계기로 금융권이 기존의 이자 수익 의존 관행에서 벗어나 생산적 금융으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산업은행,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농협)는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별관에서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 및 업무협약식'을 열고 펀드 운용을 공식화했다.
이날 출범한 국민성장펀드는 공공 부문이 75조원, 민간 부문이 75조원을 각각 분담해 총 150조원 규모로 조성된다.
민간에서는 5대 금융지주가 핵심 축을 맡아 각각 10조원씩 총 50조원을 출자하기로 확정했다. 조성된 자금은 반도체, AI, 바이오 등 국가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첨단전략산업 생태계 육성에 집중적으로 투입될 예정이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단순한 자금 출자를 넘어 인적·물적 자원의 전면적인 교류에도 합의했다.
협약에 따라 5대 금융지주는 신설된 펀드 사무국에 전문 인력을 파견하고, 산업계와 최신 기술 동향 및 투자 정보를 상시 공유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산업은행은 기존 투자 조직과 사무국을 통합해 '국가산업성장지원그룹'으로 확대 개편하고, 민간 전문가 채용을 늘려 전문성을 보강할 방침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이날 행사에서 금융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강도 높게 촉구했다.
이 위원장은 "금융권이 그동안 이자 중심의 영업에 안주하며 전략적 자원 배분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소홀했다는 비판이 있다"고 지적하며 "기존의 마인드와 업무방식은 획기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성장펀드는 기존의 영업 관행과 마인드를 획기적으로 쇄신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금융, 산업계가 역량을 총동원해야 할 시점"이라며 "정부 차원에서도 출자 부담 완화와 면책 장치 확대 등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은 "이번 펀드는 정책금융의 노하우와 시장의 전문성이 결합된 '생산적 금융'의 시발점"이라며 "민관이 합심해 산업 생태계 전반을 지원하는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기금운용심의회 구성 등 거버넌스 정비를 서둘러 산업은행법 개정안이 시행되는 오는 12월 10일에 맞춰 첫 투자가 집행되도록 속도를 낼 계획이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