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물가 5년간 22.9% 급등…빵·커피·과일 상승률 40% 육박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8 21:03:04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지난 5년간 국내 식료품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1.4배에 달하는 22.9%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물가보다 7%포인트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과 비교해 22.9%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16.2%로, 식료품 물가가 6.7%포인트 더 가파르게 올랐다.

품목별로는 과일이 35.2%, 우유·치즈·계란이 30.7%로 30% 이상 급등했다.

빵은 38.5%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케이크 31.7%, 떡 25.8%, 라면 25.3% 등으로 빵 및 곡물 전체가 28.0% 올랐다.

과자와 빙과류, 당류는 27.8% 상승했다. 기타 식료품은 21.4%, 육류는 21.1%, 어류 및 수산물은 20.0%로 모두 20% 이상 올랐다.

비주류 음료에서는 커피와 차, 코코아가 38.2% 치솟았고, 생수와 청량음료, 주스류도 22.7% 상승했다. 주류 및 담배 항목은 5.0% 상승에 그쳤으나, 주류만 따로 보면 13.1% 올랐다.

연도별로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2020년 4.4%, 2021년 5.9%, 2022년 5.9%, 2023년 5.5%, 2024년 3.9%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0년 0.5%,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 2024년 2.3%로 식료품 물가가 전체 물가의 약 2배 수준으로 상승했다.

생활 밀접 품목들도 큰 폭으로 올랐다. 음식 및 숙박 물가는 24.8% 상승했고, 이 중 외식 비용인 음식 서비스는 25.1%로 더 높았다.

기타 상품 및 서비스는 24.1%,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는 19.4% 올랐다.

주택과 수도, 전기, 연료는 16.7%, 의류 및 신발은 16.2%로 전체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교통 물가는 15.9%, 오락 및 문화는 9.5%, 교육은 8.8%, 보건은 6.2% 상승에 그쳤다. 통신비는 0.2% 하락해 유일하게 내림세를 보였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새마을금고, 동일인 한도 초과 대출 4년간 9배 폭증…임직원 138명 징계2025.10.08
새마을금고, MG+ 신용카드 누적 30만매 발급 돌파2025.10.08
금융당국, 보험업계 '일탈회계' 제동…삼성생명 주목2025.10.08
금값, 사상 첫 4천 달러 육박…올해만 51% 상승2025.10.07
관세청, 4년간 과태료 3300억 부과했지만 징수율 18% 불과2025.10.07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