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송경희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은 일부 공연장에서 암표 방지를 이유로 시행되는 과도한 본인 확인 절차와 개인정보 수집 관행에 대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하며, 필요시 엔터테인먼트 업계 전반의 실태 점검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기한 '예매자와 관람자가 다르다는 이유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요구, 네이버·카카오 인증 화면 제시, 체크카드 제시 요구 등 과도한 정보 요구' 사례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유 의원은 이러한 방식이 개인정보 보호와 암표 근절에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 피해를 초래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송 위원장은 기업 인수·합병(M&A)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해외로 이전되는 문제에 대한 제도적 대응 방안 마련을 약속했다.
그는 기업 매각이나 합병 시 개인정보 이전 문제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사전심사제나 영향평가 도입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명함앱 '리멤버'가 해외 사모펀드에 매각되면서 개인정보의 마케팅 활용 가능성에 대한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따른 답변이다.
송 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를 '비용'이 아닌 '전략적 투자'이자 '기본 책무'로 인식하도록 유도하고, 인력 및 예산 최소 기준을 명확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유출·침해 사고에 대한 엄정한 조사와 처분 강화, 국민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 유출 사고 피해 구제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