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2026년 ‘공급망 화학물질 통합관리 시스템’ 가동…글로벌 규제 대응 본격화

우소연 특파원 / 기사승인 : 2025-11-17 09:22:08
  • -
  • +
  • 인쇄
(사진=아사히 카세이)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일본 정부가 공급망 전반에 걸쳐 화학물질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2026년 가을부터 본격 가동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7일 전했다.


유럽을 중심으로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제품 부품 수가 1만 개를 넘는 제조업 특성을 고려해 화학물질 함유율 등 정보 공유를 효율화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030년까지 국내외 1만 개 기업의 도입을 예상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경제산업성이 주도하고, 산업환경관리협회가 운영을 맡는다. 10월 말에는 아사히카세이(3407 JP), 캐논(7751 JP), 도요타자동차(7203 JP) 등 약 560개 기업이 참여한 전용 컨소시엄이 출범했다. 2026년 봄에는 컨소시엄 핵심 기업들의 공급망을 대상으로 대규모 실증 사업이 예정돼 있다.

경제산업성은 컨소시엄 외 기업도 사용료만 내면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를 검토 중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비용 부담을 낮추고, 일본 제조업의 중요한 공급지로 성장한 동남아 기업의 도입도 추진할 계획이다.

자동차·전자부품에는 납 화합물 등 유해 화학물질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유럽연합(EU)은 2007년 도입한 REACH(리치) 규제를 통해 EU 역내에서 일정량 이상의 화학물질을 제조·수입하는 기업에 등록·평가를 의무화하고 있다. 중국도 2021년 ‘중국판 REACH’를 시행하는 등 글로벌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다.

이러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급망 전체가 제품 내 화학물질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일본의 이번 시스템 도입은 국제 규제 환경 변화에 발맞춘 공급망 투명성 제고 전략으로 평가된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텐센트(700.HK) 3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AI칩 수급 영향 제한적2025.11.17
사카나AI, 200억엔 추가 조달…기업가치 4천억엔 ‘일본내 스타트업 사상 최고’2025.11.17
도요타(7203 JP), 신차 사이클 7년→9년으로 연장…SDV 전환 가속2025.11.17
올림푸스(7733 JP), 신제품 출시 40% 확대…“내시경 차세대화로 수익 회복”2025.11.17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AMAT.N) 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조정시 비중 확대2025.11.17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