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공공기관의 정규직 채용이 5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지난해 처음으로 2만명 선이 무너졌다. 청년 채용 비중도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0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339개 공공기관이 지난해 채용한 일반정규직은 1만992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정부가 설정한 목표치 2만4000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공공기관 정규직 채용은 2019년 4만116명을 정점으로 2020년 2만9480명으로 급감한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2023년 2만207명을 기록했고, 지난해 처음으로 2만명 선이 붕괴됐다.
특히 신규 일반정규직 중 청년 채용은 1만6429명으로 전체의 82.5%를 차지했다. 이는 2020년 74.8% 이후 4년 만에 최저치다.
정부가 설정한 청년 채용 목표 2만명에도 미달했다.
채용 감소의 주된 원인은 공공의료기관의 채용 축소로 분석됐다.
교육부 산하 11개 병원은 전년 대비 40.7%(2214명) 감소한 3228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전남대학교병원(-415명), 충남대학교병원(-330명), 경상국립대학교병원(-299명), 전북대학교병원(-257명) 등에서 채용이 대폭 감소했다.
다만, 청년인턴 채용은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청년인턴 채용은 2만1239명으로 전년(1만8196명) 대비 16.7% 증가했다.
정규직 전환 가능성이 있는 채용형 인턴 비중도 22.4%(4745명)로 2019년(23.8%)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공공기관 신입사원의 초임 평균은 3872만원으로 전년(3819만원) 대비 소폭 상승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