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항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국내 기업의 경기 전망이 3년 4개월 연속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가 94.6으로 기준선 100을 3년 4개월 연속 하회했다고 25일 밝혔다.
BSI는 기준치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긍정적 경기 전망을, 낮으면 부정적 전망을 뜻한다.
전망치는 2022년 4월(99.1) 이후 매달 기준치에 미달하며 역대 최장 부진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비제조업이 상반된 양상을 나타냈다. 제조업 BSI는 86.1을 기록해 2024년 4월부터 1년 4개월째 침체가 계속됐다.
반면 비제조업 BSI는 103.4로 전월(93.5)보다 9.9포인트 급상승하며 7개월 만에 기준선을 넘어섰다.
제조업 세부 업종 중에서는 식음료 및 담배(112.5)만 호조 전망을 보였다. 목재·가구 및 종이(100.0)가 기준선에 걸쳤고, 나머지 8개 업종은 모두 부진이 예상됐다.
비제조업에서는 여가·숙박 및 외식(150.0), 운수 및 창고(111.5), 도소매(106.4) 등 3개 업종이 긍정적 전망을 제시했다. 나머지 4개 업종은 기준선 아래로 떨어졌다.
부문별로는 투자(93.2), 고용(95.2), 자금 사정(89.8), 내수(94.1), 수출(91.0), 채산성(94.9) 등 전 영역에서 부정적 수치가 나왔다. 재고(103.7)는 기준선을 웃돌아 과잉 상태를 시사했다.
6월 BSI 실적치는 93.5로 집계됐다. 실적치는 2022년 2월(91.5) 이후 3년 5개월 연속 기준선 밑에 머물고 있다.
한경협은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하반기 성장세 둔화 우려가 제조업 전반의 부정적 심리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내수 부양 정책, 하계 휴가철에 대한 기대가 맞물리면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기심리 개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수출시장 다변화, 통상 갈등에 대한 사전 대응체계 구축 등을 통해 제조업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