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금융지주사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음에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이탈하고 있다.
시장은 단순 실적보다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른 적극적 주주환원 의지와 실현 가능성을 우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연간 순이익 5조원을 처음 돌파했으나, 실적 발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두드러졌다.
KB금융은 실적을 공시한 5일부터 18일까지 외국인이 3720억원 규모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주가는 4일 9만1300원에서 18일 8만2100원으로 10.1% 하락했다.
KB금융은 보통주자본비율(CET1) 13~13.5%를 넘는 잉여 자본을 주주에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
CET1 비율은 금융사의 손실 흡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통상적으로 CET1 비율이 13%가 넘으면 주주환원 여력이 충분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지난해 말 CET1 비율이 13.51%로 1년 전보다 0.08%포인트 하락해 실질적인 주주환원 여력이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3분기 말 13.85%까지 상승했던 CET1 비율이 4분기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으로 급락하며 시장의 실망을 자아냈다.
신한금융지주도 6일 실적 발표 이후 전날까지 외국인이 1080억원어치를 순매도했으며, 주가는 5만700원에서 4만8450원으로 떨어졌다.
하나금융지주 역시 같은 기간 20억원의 외국인 순매도를 기록했다.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의 CET1 비율도 각각 3분기 말 13.17%에서 4분기 말 13.03%, 13.17%에서 13.13%로 하락하며 밸류업을 위한 추가적인 주주환원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평가다.
반면 우리금융지주는 CET1 비율이 3분기 말 11.95%에서 4분기 말 12.08%로 개선되며 유일하게 240억원의 외국인 순매수를 기록했다.
주가도 1만5670원에서 1만7240원으로 상승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