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0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식품·외식업계 관계자들과 만나 고물가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12일 총리실에 따르면 김 후보자가 13일 서울에서 비공개 간담회를 열어 물가 동향을 점검하고 정부 차원의 대응책을 살핀다.
간담회에는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외식산업협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등 업계 단체와 소비자단체, 전문가,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가 참석한다. 개별 식품기업은 참석하지 않는다.
이번 조치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9일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 회의에서 물가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한 데 따른 후속 대응이다.
이 대통령은 당시 "물가 문제가 우리 국민들에게 너무 큰 고통을 주고 있다"며 신속한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김 후보자는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현충원 행사 후의 시장 방문과 라면값 제기는 우발적인 게 아니다"라며 "매일매일 부딪히는 음식 물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총리실 차원에서 물가대책 간담회를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며 "후보자로서 할 수 있는 일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국무총리 후보자가 직접 물가 현안을 다루는 간담회를 개최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새 정부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가공식품과 외식업계의 물가 상승세가 서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4.1%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1.3%의 세 배를 넘는 수치다.
외식 물가 역시 3.2% 오르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1.9%를 웃돌았다. 가공식품과 외식의 소비자물가 기여도는 합쳐서 0.81%포인트에 달해 전체 물가 상승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계엄 사태 이후 6개월간 식품·외식업체 60여 곳이 가격을 인상해 '정국 혼란기를 틈탄 가격 인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 조사에서는 국민 10명 중 6명이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과제로 꼽았으며, 정부 추진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이 35.9%로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