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나들이] '노동생산성' 무슨 말일까? : 알파경제TV

영상제작국 / 기사승인 : 2025-02-19 10:37:29
  • -
  • +
  • 인쇄
노동생산성의 경제적 의미와 중요성
경제 성장과 효율성을 좌우하는 노동생산성의 역할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알파경제=영상제작국] '노동생산성(Labor Productivity)'은 단위 시간당 노동자가 창출한 산출량을 나타내는 경제용어로, 특정 기간 동안 한 명의 노동자가 얼마나 많은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했는지를 측정합니다. 이는 국가 및 기업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노동생산성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비용효율성(Cost Efficiency)'이 있습니다. 노동생산성이 생산량에 초점을 둔다면, 비용효율성은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얼마나 적은 자원을 사용하는지에 중점을 둡니다. 예컨대, 노동생산성이 높더라도 생산 과정에서 과도한 비용이 투입되면 비용효율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노동생산성의 역사는 산업혁명 시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8세기 말부터 기계화와 공장 시스템 도입으로 대규모 생산체제가 가능해지면서 노동생산성이라는 개념이 중요하게 떠올랐습니다. 20세기 들어서는 포드주의(대량 생산 방식)와 같은 혁신적인 경영 전략이 등장하면서 더욱 주목받았습니다. 현대에는 디지털 기술과 자동화가 노동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건으로는 일본에서 발생한 '1970년대 생산성 운동'을 들 수 있습니다. 당시 일본은 세계적인 석유 파동 속에서도 기술 혁신과 업무 효율화를 통해 놀라운 경제 성장을 이뤘습니다. 이 운동은 전 세계적으로 벤치마킹 대상이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에서 노동생산성은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그리고 데이터 분석 기술에 의해 급격히 변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원격근무와 같은 새로운 근무 형태가 보편화되면서, 시간당 산출량뿐 아니라 작업 환경 및 직원 만족도가 중요한 변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주요기사

공정위 과징금 부과…쿠팡, 3년반 1628억원 최다 '불명예' : 알파경제TV2025.10.20
KDB·신한·iM라이프, 보험금 절반 이상 '지연지급'…소비자 불만↑ : 알파경제TV2025.10.20
[현장] W코리아, 20년간 11억 기부 홍보했지만 실제론 3억…책임론 번지는 두산 : 알파경제TV2025.10.20
[현장] 쿠팡, ‘퇴직금 미지급’ 꼼수, 근로자 동의 88%(?)...내부문건 “단절 개념 알리지 말 것” : 알파경제TV2025.10.20
[경제용어 나들이] 무디스: 신용평가의 거목 : 알파경제TV2025.10.20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