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 21일 대구 달서구 진천동행정복지센터에서 시민들이 신청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정부가 약 7개월간 지속했던 경기 진단에서 '하방 압력' 표현을 삭제하고 소비 증가세로의 전환을 공식 확인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비롯한 추가경정예산 집행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내수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판단이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정책 효과 등으로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향후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는 작년 12월부터 올해 6월까지 계속 사용해온 '하방 압력 증가' 또는 '하방 압력이 여전하다'는 표현을 완전히 삭제한 것으로, 정부의 경기 인식이 뚜렷하게 개선됐음을 보여준다.
지난달 21일부터 지급되기 시작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비롯해 1·2차 추경 효과가 소비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실제 주요 소비 지표들이 개선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달 카드 국내 승인액은 작년 동월보다 6.3% 증가해 올해 2월(6.8%)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도 1년 전보다 36.2% 늘어 올해 1월(39.7%) 이후 6개월 만에 30%대 증가율을 회복했다.
소비 심리 역시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8로 6월보다 2.1포인트 올라 넉 달 연속 상승했다. 지난 6월 소매판매도 내구재(-1.6%)에서는 줄었으나 준내구재(4.1%), 비내구재(0.3%)에서 늘어 전월보다 0.5% 증가했다.
정부는 소비 부문의 긍정적 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재부는 "7월 소매판매는 소비자심리지수 개선, 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승용차 내수 판매량 증가세 둔화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정부의 경기 진단 변화는 그린북의 표현 변천사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2023년 7월까지 '내수의 완만한 개선'이라는 표현이 있다가 같은 해 8월부터 빠졌고, 작년 5월부터 10월까지 '내수 회복 조짐' 문구가 담겼지만 끝내 조짐에서 회복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소비가 실제로 증가세로 전환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다만 경기 전반에 대한 우려 요인은 여전히 남아있다. 건설 경기 불황과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미국) 반도체, 의약품 등 관세가 어떻게 될지에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