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불완전 넘어선 사기"...MBK 책임론 심화

류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3-13 11:51:46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MBK파트너스가 소유한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이 가져온 파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관련 채권에 투자한 개인투자자들의 피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사기 및 불완전 판매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MBK파트너스의 책임을 물으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국회는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소환했으며, 국세청은 세무조사 대상으로 지정했다.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전자단기사채(ABSTB)에 투자한 약 30명의 개인투자자는 최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피해를 호소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 이의환 집행위원장은 "이번 사건은 단순히 불완전 판매를 넘어선 사기"라며 검찰의 즉각적인 수사를 촉구했다.

 

비대위 측은 "회사가 위기에 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채권 발행을 강행했다"며 "검찰은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 사기의 주범으로 지목된 MBK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을 출국금지하라"고 주장했다. 

 

증권사들도 신용등급 강등 등의 위험성을 알면서도 제대로 고지하지 않았다면 불완전 판매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채권 발행 주관사인 신영증권은 이러한 사실을 몰랐다며 홈플러스에 대한 법적 조치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최근 열린 대책회의에서는 선제적으로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고 전해진다.

 

신영증권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회생 신청 직전에 자금을 조달한 것에 대해 많은 시장 참가자가 의구심을 갖고 있다"라며 "그러나 형사고소보다 가능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홈플러스 관계자는 "개인투자자들에게 판매한 사실을 전혀 몰랐다"라며 "증권사에 넘어가는 순간부터는 우리도 알 수는 없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홈플러스 측은 지난해 주요 재무 및 사업 지표 개선으로 매출과 수익성 향상을 기대했다고 해명하며 신용등급 하락 예측 실패를 이유로 사기는 없었다고 주장한다. 

 

반면, 신영증권 측은 "홈플러스가 리테일 판매된 줄 몰랐다는 주장은 믿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금융당국은 손실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만큼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투자자 손실이 확정되어 민원이 발생하면 증권사 검사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오는 18일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김병주 MBK 파트너스 회장과 여러 인물을 증인으로 소환할 예정이다. 

 

이들은 기업어음(CP) 등을 통해 일반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겼다는 의혹과 배임 혐의를 집중 질의할 계획이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

주요기사

상반기 車보험 이익 90% 급감…손해율 악화 직격탄2025.09.07
금융위, 17년 만에 해체…금감원·금소원 공공기관 추진2025.09.07
월급 300만원으로 2년만에 1억 만들기. 어떻게 하면 될까? [알쓸차근: 월급탈출 인생수정]2025.09.05
네이버·토스·카카오에서 실손 보험보험 청구 한번에 가능해진다2025.09.05
[마감] 코스피, 美고용지표 경계감 속 3200대 제자리걸음2025.09.0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