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홈플러스)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국내 대형마트 2위인 홈플러스의 회생 절차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회생 절차 개시 후 석 달이 다 되어가지만, MBK파트너스를 향한 검찰 수사만 이어지며 홈플러스의 매출 급감과 함께 회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내부적으로 7월이면 현금 부족이 예상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대체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지난달 홈플러스의 신용카드 결제 추정액은 41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4%나 급감했다.
이는 회생절차 개시 직후 나왔던 '6개월 조기 졸업' 전망을 무색하게 하는 수치다.
금융당국과 검찰이 MBK파트너스 수사에만 집중하면서, 채권단, 부동산펀드 투자자, 메리츠증권 등 이해관계자 간의 협상과 타협이 실종된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홈플러스는 임대료 협상에서도 난항을 겪고 있다.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7월 10일로 연기되었지만, 여전히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건물주의 임대료 협상 불응으로 홈플러스가 계약 해지를 통보한 인천 숭의점의 사례는 이러한 어려움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채권단은 김병주 MBK 회장의 사재 출연 등 책임 있는 자세를 요구하며 채권 조정에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신영증권 역시 MBK 측의 사기적 거래 행위를 주장하며 법적 대응에 나서는 등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홈플러스의 자금 사정이 악화되면서 일부 공급사에 상거래채권 지급을 미루는 방안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빙그레와 매일유업은 이미 홈플러스에 납품을 중단했으며 "홈플러스 언제 망하냐"는 소비자 문의가 잇따르는 등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임차료 협상 실패 시 계약 해지 매장이 10개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위기감을 고조시켰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홈플러스의 회생이 좌초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한 기업회생 전문 변호사는 "채권자와 MBK 모두 홈플러스가 살아나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법정 싸움을 부추기는 대신, 금융당국이 조정자 역할을 맡아 실리 협상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회생절차를 정상적으로 추진하지 않을 경우 자금 고갈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있을 수 있지만, 현재 주요 채권들이 유예된 상태이므로 당장 현금이 고갈되는 급박한 상황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회생절차를 단기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기업 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회생 계획을 추진 중이며,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임대료 조정을 요청드리는 등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에도 적극 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