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예금 금리 3%대 재가동…시장금리 상승에 수신 경쟁 본격화

김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6 14:40:09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다시 연 3%대로 끌어올리며 자금 방어에 나섰다.

시장금리 상승과 예·적금 만기 집중, 증시로의 고객자금 이동이 맞물리면서 주요 시중은행이 수신 금리를 잇달아 상향하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은 최근 정기예금 금리를 0.05~0.30%포인트씩 조정해 최고 연 3.0~3.1% 수준의 상품을 잇달아 내놨다.

3%대 금리가 다시 등장한 것은 약 6개월 만이다.

국민은행은 24일 ‘2025-1차 공동구매정기예금’ 판매를 시작했다.

해당 상품은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금리가 올라가는 구조로, 1년 만기 기준 판매액이 1000억 원 이하일 때는 연 2.75%, 이를 초과하면 연 2.85%를 적용한다.

여기에 지난해 11월 이후 신규 예치 이력이 없는 고객에게 0.15%포인트의 이벤트 금리가 더해져 최고 연 3.0%까지 받을 수 있다.

신한은행도 최근 ‘신한 my플러스정기예금’의 최고금리를 연 2.80%에서 연 3.10%로 0.30%포인트 인상했다.

기본금리 연 2.90%에 △6개월간 정기예금 미보유 △입출금통장 월 50만 원 이상 소득 입금 등 우대조건 충족 시 추가 0.20%포인트가 적용된다.

우리은행 역시 ‘WON플러스예금’ 금리를 연 2.80%에서 2.85%로 올렸고, ‘우리첫거래우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도 연 3.00%로 상향했다.

해당 상품은 신규일 직전 연말 기준 우리은행 계좌 미보유 고객에게만 적용되는 조건부 상품이다.

은행권이 다시 고금리 카드를 꺼낸 배경에는 시장금리 상승과 유동성 유출 압력이 자리한다.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3%대를 회복한 데다, 은행채 1년물 금리도 8월 2.50% 수준에서 이달 2.78%까지 뛰었다.

여기에 예·적금 만기 도래가 4분기에 집중된 데다, 최근 증시 강세로 자금이 빠르게 이동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기준 4대 은행의 요구불예금 잔액은 584조3783억 원으로 한 달 새 18조7008억 원 감소했다.

한 시중 은행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최근 금융채 금리가 오르면서 예금 금리도 함께 올라가는 흐름”이라며 “대출 수요가 줄었지만 조달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여전히 예금이 필요해 예금 금리를 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국토부, 내년 수도권 공공분양 2만9000가구 공급 예정2025.11.26
새마을금고재단, 2025 청년누리장학생 해단식 성료2025.11.26
메리츠증권, 5000억 유상증자…“자본 확충·운영자금 확보 목적”2025.11.26
새마을금고, 첫 직선제 회장 선거 3주 앞…김인 회장 ‘연임 여부’ 주목2025.11.26
케이뱅크, 부산은행과 공동 신용대출 출시…최저 금리 낮추고 100% 비대면2025.11.26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