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물가상승률 2.3%…신선식품 14년 만에 최고 상승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12-31 14:28:44
  • -
  • +
  • 인쇄
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를 기록하며 전년(3.6%)보다 상승세가 둔화됐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2024년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8(2020년=100)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0.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여전히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2.0%)를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작황 부진과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신선과일 물가는 17.1% 상승해 2004년(24.3%) 이후 2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배(71.9%), 귤(46.2%), 사과(30.2%) 등이 크게 올랐고, 배추도 25.0% 상승했다.

연간 기준 농산물 물가는 10.4% 상승해 2010년(13.5%) 이후 14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과일과 챗호 가격이 뛰면서 신선식품지수도 9.8% 올라 2010년(21.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반면 석유류 가격은 1.1% 하락했다.

다만, 전년(-11.1%)보다 하락폭이 크게 줄었다. 국제유가 하락세 둔화와 유류세 인하 조치 일부 환원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12월 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9%로 올랐다.

4개월 연속 1%대를 유지했지만 고환율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1.0% 올라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농산물 가격도 2.6% 상승하며 전월(0.3%)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개장] 뉴욕증시 고용 충격에도 최고치 경신..팔란티어 4%↑2025.09.10
[마감] 코스피, 대주주 기준 완화 기대감에 연고점 돌파…3260선 마감2025.09.09
9월 아파트 분양 전망 소폭 상승..'옥석 가리기' 심화2025.09.09
두나무, 웹3 인프라 브랜드 '기와' 공개2025.09.09
"조직개편 철회하라"…금감원 직원 700명 검은 옷 집회2025.09.09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