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한화생명이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 시행에 맞춰 실시한 소비자 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제도 도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신보험을 ‘사후 지급 자산’ 중심에서 ‘생전 활용 가능한 자산’으로 확장하려는 수요가 확인됐다는 분석이다.
24일 한화생명은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과 함께 종신보험 인식과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에 대한 소비자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조사는 지난 9월 25~29일 전국 30세 이상 성인 101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들은 종신보험의 가장 큰 불만으로 ‘당장 받는 혜택이 없다’(49.4%)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보험금 가치 하락’(23.3%), ‘유연성 부족’(21.1%)이 뒤를 이었다.
가족 보장 자산으로서의 상징성은 유지되고 있지만, ‘비싼 보험료’와 ‘비유동성 자산’이라는 부정적 인식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 설명 후 매력도는 평균 64.7점, 긍정 응답 비중은 53.4%로 조사됐다. 종신보험을 생전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기존 인식을 일부 완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활용 기대 분야는 △은퇴 후 생활비(37%) △중대질병 의료(24.4%) △간병비(23.3%) 등 노후·의료 영역에 집중됐다.
핵심 수요층은 40~50대 기혼 유자녀 가구로 분석됐다. 가족 부양과 노후 대비가 동시에 필요한 세대 특성상, 종신보험 본래의 보장 기능과 생전 활용 가치 모두에 높은 공감도를 보였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종신보험이 그동안 사망 이후에만 지급되는 보장 자산으로 인식돼 왔지만, 유동화 제도 도입으로 생전 활용 폭이 넓어지면서 소비자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단계는 아니지만, 연금 지급 방식 등 다양한 활용 모델을 업계와 함께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30일부터 삼성·한화·교보·신한라이프·KB라이프 등 5개 생명보험사를 대상으로 1차 유동화 상품을 출시했다.
2026년 1월까지 전 생명보험사로 확대될 예정이며, 전체 대상 계약 규모는 75만9000건(35.4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