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지난해 한국의 커피 원두 수입량이 1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는 국제 시세의 가파른 상승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의 커피에 대한 수요가 견고함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올해에도 글로벌 원두 주산지의 작황 부진으로 국내 프랜차이즈 커피 가격 인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8일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한국의 커피 원두 수입량은 20만1924톤을 기록해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이는 2018년 15만8385톤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 2022년 소폭 감소했던 추세가 다시 반등한 것이다.
이런 수입량 증가가 국제 원두 시세의 급격한 상승 속에서 이뤄졌다는 점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집계에 따르면, 이달 뉴욕상품거래소의 아라비카 커피 평균 거래가는 전년 동기 대비 73% 상승한 톤당 7112.7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가격과 비교하면 약 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저가 및 인스턴트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로부스터 커피 가격도 톤당 5103.55달러로 55% 상승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올해 저가 커피를 포함한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이 지속적인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데다, 최근의 고공 행진을 이어가는 환율도 원료 수입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주요 커피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도 점쳐진다.
앞서 스타벅스는 대형 사이즈 음료의 가격을 조정한 데 이어, 최근 톨(355㎖) 사이즈 커피 음료의 가격을 200~300원 인상했다.
매일유업이 운영하는 커피 전문점 폴바셋도 28종 제품의 가격을 평균 3.4% 높였으며, 동서식품은 지난해 11월 인스턴트커피 등의 출고 가격을 평균 8.9% 인상한 바 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