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협회, 캐피탈사 PF부실 우려 일축 "손실흡수능력 충분"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4-01-04 17:06:45
  • -
  • +
  • 인쇄
여신금융협회.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여신금융협회가 캐피탈업계 PF 손실흡수능력이 충분하고 유동성도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최근 캐피탈 부동산 PF 시장은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 사업 여건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나, 캐피탈업계 손실흡수능력과 재무건전성 등을 고려 시 충분히 감내할 수준"이라고 4일 밝혔다.

이어 "지난해 9월말 기준 총 자본은 33조200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등 손실흡수능력이 확충되고 있다"며 "총자산 대비 부동산PF 대출 비율도 11.2%로 지난해보다 감소하고 있는 등 재무건전성도 점차 개선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3분기 부동산 PF 대출의 요주의 이하 여신비율 증가와 관련해서는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장기화에 대비, 선제적이고도 엄정한 사업성 평가 등을 통해 해당 여신에 대해 약 1조원 수준의 충분한 충당금(준비금)을 적립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캐피탈업권 부동산 PF 시장 정상화를 위한 자연스러운 연착륙 과정으로 볼 수 있다"며 "지난해 9월말 기준 PF 대출 연체율 또한 대손상각 등 리스크 관리 강화로 상승 폭이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캐피탈업계의 유동성 비율도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최근 여전채 시장은 여전채 매수세 강화로 국고채와의 스프레드가 축소되는 등 점차 안정세로 회복 중"이라며 "PF리스크 증대 가능성에 대비해 높은 유동성 비율 유지 등 선제적 노력도 병행 중에 있으며 PF를 취급 중인 여전사가 대부분 지주계 계열회사로 대주주의 지원능력도 충분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12월말 기준으로 여전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국고채와의 스프레드가 축소되고 있으며, 지난해 9월말 기준 기준 즉시가용 유동성 비율은 419.8%, 원화 유동성 비율은 158.0%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캐피탈업권은 PF대주단 협약, PF정상화 지원펀드 조성 등 사업장 재구조화를 통한 정상화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며 "금융당국과 함께 PF리스크가 업권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충분한 충당금 적립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를 통해 건전성을 제고해 PF리스크를 적극적으로 축소해 나아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우리은행, 국민연금 수탁은행에 4회 연속 선정2025.09.15
신한은행, 3조 규모 GTX-B 민간투자사업 금융주선 완료2025.09.15
농협 ‘통상임금’ 범위 축소 논란…노조 강경 투쟁 예고2025.09.15
부동산 대출 규제 '풍선 효과'는 여기..빌라 거래량 급증2025.09.15
부동산 시장 심리 회복..8월 전국 주택 매매소비심리 소폭 상승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