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일 서울 시내 한 대형 마트에 계란이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정부가 최근 상승세를 보이는 먹거리 물가 안정을 위해 460억원 규모의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나선다.
가격 급등이 두드러진 고등어와 계란 가공품에는 할당관세를 확대 적용하고, 달걀 가격 담합 의혹에 대한 조사도 본격화한다.
기획재정부는 16일 이형일 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물가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정부는 휴가철인 6~7월 농축수산물 할인에 460억원의 재정을 투입한다. 돼지고기, 닭고기, 과일 등 주요 소비 품목에 최대 40% 할인을 제공하고, 수산물은 최대 50% 할인하는 '대한민국 수산대전'을 개최한다.
축산자조금과 유통업체 협력을 통한 한우·수입 소고기 할인행사도 진행한다.
물가 상승률이 높은 일부 품목에는 할당관세를 신규 도입하거나 확대 적용한다. 고등어는 7~12월 1만톤 규모의 할당관세를 새로 도입하고, 계란 가공품 할당관세는 기존 4000톤에서 1만톤으로 확대한다. 기타 식품 원료 4종의 할당관세 적용 기간도 연말까지 연장한다.
축수산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시설투자 지원 사업을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한다는 계획도 발표됐다. 산란계 농가의 케이지 수선 및 교체, 김 건조기 교체 등이 지원 대상이다.
최근 가격이 급등한 달걀은 맞춤형 관리에 들어간다. 생산자단체의 산지 가격 고시를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 일원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과도한 산지 가격 인상을 둘러싼 담합 의혹도 조사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6일 대한산란계협회 본부와 지회 사무실에 조사관을 파견해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농협 자체 할인 납품과 계란자조금을 활용해 대형마트 납품 단가를 최대 한판당 1000원 인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브라질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한 닭고기 수입 공백 최소화를 위해 지역화 완료 시점인 21일 수입절차를 재개한다. 초도 물량을 8월 중순까지 국내로 들여오는 것이 목표다. 태국산 닭고기 4000톤도 7월 말부터 신속히 국내에 유입하고, 국내산 닭고기 공급도 확대한다.
정부는 또한 식품 업계와 소통을 통해 가격 인상 품목과 인상률 최소화를 당부하고, 중소·중견 식품기업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추경안에 국산 농산물 구매지원 저리 정책자금 200억원을 반영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국내 유가 상승 가능성에 대비해 범부처 석유 시장 점검단을 가동하고, 가짜 석유 및 담합 등 불법행위도 단속할 방침이다.
이형일 대행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기대비 2% 내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수준이 높고, 먹거리 등의 가격상승률도 여전히 높아 생계비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발표한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향후에도 물가 안정 과제들을 지속해서 발굴하겠다"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