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롯데손해보험 CI. (사진=롯데손해보험) |
[알파경제=김민수 기자] 롯데손해보험이 창사 이래 최대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롯데손해보험은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도입된 지난해 영업이익 3973억원, 당기순이익 3024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롯데손해보험의 보험영업이익은 4685억원이다. 장기보장성보험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이익 기반을 다졌다.
2022년 1조 8669억원이던 장기보장성보험 원수보험료는 지난해 2조 1336억원으로 14.3% 늘었다.
전체 원수보험료에서 장기보장성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86.2%로 2022년 80.2%에서 6.0%포인트 높아졌다.
장기보장성보험의 연간 신규월납액은 404억원으로 2022년의 283억원에 비해 43.1% 성장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5479억원의 신계약 계약서비스마진(CSM)을 확보했다. 보유 CSM 중 신계약 CSM 비중은 22.9%로 업계 최상위다.
지난해 장기·일반·자동차보험 등을 합한 전사손해율은 81.6%로 2022년의 86.5%에 비해 4.9%포인트 개선됐다.
발생손해액을 경과보험료로 나눈 비율인 장기보험 경과손해율도 81.9%로 2022년 86%에 비해 4.1%포인트 낮아졌다.
계약관리 강화를 지속하며 고액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은 일반보험의 손해율은 72.2%로 우량한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인수 프로세스를 개선한 자동차보험의 손해율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롯데손해보험의 지난해 연간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2%로 2022년의 87.8%에 비해 5.8%포인트 낮아졌다.
손해조사비를 제외할 때 지난해 연간 손해율은 69.1%로 발생손해액이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롯데손해보험의 지난해 장기보장성보험 계약 유지율은 13회차 88%, 25회차 76.6%로 지난해보다 더욱 상승하며 업계 최상위권을 유지했다.
지난해 4분기 롯데손해보험의 투자영업이익은 382억원으로 흑자를 기록하며 앞으로 본격적인 개선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다.
지난해 예실차 비율은 1.8%를 기록했다. 예실차는 예상 보험금·사업비와 실제 발생 보험금·사업비의 차이를 의미한다.
회사 측은 “예실차가 양수라는 점은 최적 가정 아래 정확한 CSM 산정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롯데손해보험 관계자는 “창사 이래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은 내재가치 중심의 체질 개선 성과가 다시 한번 증명된 것”이라며 “보험계약과 투자자산의 질이 개선되고 안정적인 재무관리가 이어지는 등의 정성적 성과 역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알파경제 김민수 (waygo171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