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정부와 여야가 지난 9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참여하는 4인 체제의 ‘국정협의회’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실무협의를 통해 이러한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원장과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원장이 이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협의에서는 경제회복, 민생안정, 외교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현안 의제가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정협의회에서 다뤄진 의제를 각 당 내부적으로 논의를 거친 뒤 실무협의를 재개할 예정입니다.
다만 이번 협의회가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이는 여야 간 갈등으로 인해 합의를 도출하기 어렵다는 분석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국정협의회의 가동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 관련 사법적 이슈와 맞물려 국가기관 권위 훼손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 속에서 '민생경제 회복' 메시지를 꺼내들며 주도권을 이어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역시 헌법재판관 임명 문제와 경제 위기 대응 등 주요 사안을 둘러싼 논란 중심에 서왔습니다. 그러나 그간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정치적 혼란이 장기화됐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이번 협의회를 통해 최 권한대행이 보다 합리적인 행보로 위기를 극복할 계기를 마련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입니다. 한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도 이번 국정협의회는 대권 주자로서 이미지를 강화할 기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이 대표는 차기 대권주자 적합도 조사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하며 존재감을 드러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비호감도 역시 높게 나타나면서 사법 리스크가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일각에서는 조기 대선 시 탄핵 후폭풍으로 인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이번 국정협의회가 수행할 수 있다는 시각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