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국정감사에 처음으로 출석해 "국민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습니다. 그동안 해외 출장 등을 이유로 국회의 출석 요구를 여러 차례 거부해왔던 김 회장의 이번 출석은 이례적인 행보로 평가됩니다.
김 회장은 올해 3월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 직후와 9월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 등에도 불참했으며, 지난해에도 증인으로 소환되었으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국정감사의 법적 구속력과 동행명령장 발부 예고에 따라 결국 국감장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동행명령 위반 시에는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이날 김 회장은 긴장한 표정으로 의원들의 질의를 들었으며, "홈플러스 임직원과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실질적인 책임 이행 방식에 대해서는 회피성 답변으로 일관해 비판을 받았습니다.
김 회장은 총 5000억원을 출연했다고 밝혔으나, 이 중 실제 현금 투자는 400억원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증권사 대출 연대보증 형태로 제공되어 회수 가능한 구조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또한 추가 출연 의사에 대해서는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고 답했으며, 재산이 14조원에 달한다는 질문에는 "MBK는 비상장 회사로 유동할 수 없는 구조"라고 해명했습니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 및 롯데카드 사태와 관련해 "저는 대기업 총수가 아니며 의사결정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역할이 펀드 모집과 투자처 관리라고 설명하며, 대부분의 질의에 대해 김광일 부회장이 대신 답변했습니다.
이에 대해 박상혁 민주당 의원은 "홈플러스와 롯데카드 의사결정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도대체 어떤 결정에 관여하느냐"고 따져 물었습니다. 김 회장은 "제 회사이기에 사회적 책임은 느끼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한편, 금융당국은 MBK의 사회적 책임 이행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으며, 위법 행위에 대해 엄정하게 제재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채권 사기 발행 의혹에 따른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