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반도체 전문 팹리스 업체인 AMD(AMD)의 AI 가속기 모멘텀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AMD의 주가는 AI 가속기 칩셋 기대감으로 상승한 후 기대치에 못 미치는 가이던스 하향으로 상승폭을 일부 반납했다.
임지용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만 AI 가속기 칩셋 출하는 2024년 실적에 기대 이상으로 반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동사는 칩렛(하나의 칩을 여러 개의 작은 칩으로 나눔, 웨이퍼 결함이 생겨도 칩 크기 작을수록 수율 향상되는 효과) 기술의 선두주자로 2세대 EPYC Rome 4개 코어 칩렛과 1개의 I/O(입출력을 담당) 칩렛을 탑재했다.
![]() |
AMD 주가추이 (출처=네이버증권) |
임지용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동사는 서버 CPU에는 2.5D 패키징을 적용하지 않고 GPU에는 적용 중"이라며 "현재 앱솔릭스 및 여러 기판업체와 유리기판 샘플을 테스트 중"이라고 전했다.
기판이 커져도 휘어지지 않고, 평탄도가 높아 리소그래피 초점심도가 높으며 거칠기가 낮기 때문에 발열 제어에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임 연구원은 "유리기판은 실리콘 인터포저가 없기 때문에 칩렛 구조에 유리하다"며 "칩렛 기술 선두주자인 동사는 향후 유리기판 채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반도체 미세화 방향이 칩렛 후공정으로 변화하고 있고 유리기판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