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정례회의를 마친 이찬희 준감위 위원장이 22일 오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리는 삼성 준감위-7개사 대표 간담회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이찬희 삼성전자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발생한 임직원 개인정보 내부 노출 사건을 준감위에서 안건으로 다룰지 검토하겠다고 25일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열린 제3기 준감위 정례회의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차기 안건으로 이 문제를 다뤄볼지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준감위 관계사인 삼성물산이 최대주주이긴 하지만 자회사는 아니라 감사할 수 있는 권한이 사실상 지금 현재 지분 구조로는 없다"면서도 "삼성물산이 우리 관계사인 만큼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주의 깊게 바라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준감위의 감시를 받는 삼성 계열사는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SDI 등 7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 명단에 포함돼 있지 않다.
이 위원장은 "정보가 유출되는 것이 시스템의 문제인지 아니면 과실인지는 사안마다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다"면서도 "정보보호는 상당히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에 그것이 위법한 영역에서 이뤄졌는지 여부를 살펴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사 개선 작업을 진행하던 중 지난 6일 인사고과와 승격 임직원 관련 비공개 정보, 일부 개인정보가 권한을 부여받지 않은 임직원들도 열람할 수 있게 돼 있음을 확인한 후 접근을 제한했다.
노출된 개인정보에는 임직원 약 5000명의 주민등록번호와 학력, 주소 등 신상정보와 함께 연봉, 인사고과 등 민감한 인사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노조는 유출된 정보에 노동조합 집행부 기록이 집중적으로 담기는 등 노조 사찰이 지속돼 왔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삼성전자에서도 직원의 개인정보 등이 노출됐다는 의혹이 불거진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이 위원장은 "삼성전자에서 불거진 정보유출 문제도 정보유출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씀드릴 순 없다"면서 "정보보호는 상당히 중요한 영역인 만큼 어떤 부분에서 위법한 문제가 발생했는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