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험 가입률 10% 미만…의무대상 오히려 축소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0 10:04:57
  • -
  • +
  • 인쇄
27일 서울의 한 SK텔레콤 대리점에 ‘유심 재고’ 관련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SKT 해킹 사태로 개인정보 유출에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의무화한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의 가입률이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을 취급하는 15개 보험사의 가입 현황을 집계한 결과 총 7769건에 그쳤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해배상책임 이행 시 자금조달이 어려운 사업체를 위해 2020년부터 개인정보 손해배상 책임보험 가입을 의무화했다.

가입 대상은 전년도 매출액 등이 10억원 이상이면서 정보 주체 수가 1만명 이상인 곳이다.

개보위는 대상 기업을 약 8만3000개에서 38만개로 추정한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지난해 말 기준 가입률은 2.0%~9.4% 수준에 그친다.

이처럼 가입률이 낮은 배경에는 정부의 점검·관리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의무대상 기업 범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 자체에 한계가 있어 실효성 있는 점검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해킹 사고가 일어난 SKT도 10억원 한도의 개인정보보험을 가입했지만 보상 체계가 취약하다는 논란이 일었다. 과태료 부과 액수도 다른 의무보험에 비해 큰 편이지만 실제 가입률은 턱없이 낮다.

상황이 이런 가운데 개인정보위는 지난 3월 의무대상 기업의 기준을 '매출액 1500억원 이상이면서 관리하는 정보 주체 수 100만명 이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기존 의무 대상 범위가 너무 넓어 실질적인 점검·관리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의무 가입 대상은 200곳 정도로 줄어든다. 개인정보보호법상 의무보험 가입 제도의 목적은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 시 배상능력이 부족한 기업으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는 것인데, 배상 능력이 충분한 기업에만 보험 가입 의무를 부여한다는 모순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10·15 부동산 대책 부정 평가가 긍정보다 많아"2025.10.24
농협은행 금융사고 절반은 '내부 소행'..."기강해이 심각"2025.10.24
NH농협은행,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 도입2025.10.24
부산은행 창립 58주년 "지역 상생 금융 모델 확대"2025.10.24
미래에셋그룹, ‘미래에셋3.0’ 시대 선포...글로벌·AI·IB 강화 조직개편2025.10.2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