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대출 연체율 4.39%로 소폭 개선…토담대는 30% 육박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5 10:40:32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전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소폭 개선됐으나,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토지담보대출 연체율은 여전히 30%에 육박하며 부실 위험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는 25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금융감독원 등과 '부동산 PF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6월 말 기준 PF 대출 현황을 공개했다.

6월 말 기준 전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4.39%로, 3월 말보다 0.11%포인트 하락했다. 전체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역시 186조6000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4조1000억원 줄었다.

중소금융회사의 토지담보대출 연체율은 29.97%에 달했다.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29조7000억원에서 14조1000억원으로 절반 이상 줄었지만, 연체액이 2조1000억원에서 4조2000억원으로 두 배 급증한 결과다.

금융당국의 사업성 평가에서 '유의'(C) 또는 '부실우려'(D) 등급을 받은 사업장은 총 20조8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PF 익스포저의 11.1% 수준이다.

이 가운데 6월 말까지 경·공매와 신규자금 투입 등을 통해 총 12조7000억원이 정리 또는 재구조화됐다. 구체적으로 8조7000억원이 정리됐고 4조원은 재구조화가 완료됐다.

금융위는 PF 사업자의 자기자본비율을 20%로 높이는 것을 골자로 한 'PF 제도개선 방안'을 연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업자의 자기자본비율 수준에 따라 금융사의 PF 대출 위험가중치를 차등 적용하는 방식이다.

건설업계는 자기자본비율 20%가 현실과 괴리가 크다며 단계적 상향과 유예기간을 요청하고 있다.

금융위는 "업계 의견을 종합해 적용 유예기간 등을 포함한 최종 개선안을 연내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삼성화재 임원, 단기매매 차익챙기다 '들통'2025.09.25
"9월 서울 집값 다시 상승..금융불균형 심화 우려"2025.09.25
올해 전국 청약자 절반 가까이 서울로 몰려2025.09.25
두나무, 네이버파이낸셜 편입설…”구체적 방식 미정 신중한 입장”2025.09.25
KB금융, 생산적 금융 전환 전담 '생산적 금융 협의회' 출범2025.09.25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