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홈플러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홈플러스는 법정관리를 앞두고 추진 중인 인수합병(M&A)과 관련, 실제 인수에 필요한 자금이 1조 원을 밑돌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홈플러스는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의 보고서를 인용, 자사의 총 자산은 약 6조 8,500억 원, 부채는 약 2조 9,000억 원으로 순자산 기준 약 4조 원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브랜드 가치, 사업 지속 가능성, 보유 부동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전체 기업 가치는 약 7조 원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습니다.
홈플러스 측은 기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2조 5,000억 원에 달하는 보통주 투자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새로운 인수자는 기존 지분 인수 부담 없이 신규 자금 투입만으로 즉시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사 보고서상 청산 가치가 약 3조 7,000억 원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인수 매력도가 높다는 것이 홈플러스 측의 주장입니다.
회생 절차상 M&A에서는 기업 가치가 최소 청산 가치 이상으로 평가되어야 합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잠재적 인수자는 실질적으로 기업 가치의 절반 수준인 약 3조 3,000억 원의 할인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홈플러스는 전체 채권 규모가 약 2조 9,000억 원이며, 이 중 회생 채권은 약 2조 7,000억 원이라고 밝혔습니다.
홈플러스 측은 인수자가 기업 가치를 3조 7,000억 원으로 평가하여 인수할 경우, 이는 전체 채권 규모를 상회하는 금액이므로 채권자 동의 확보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더불어 홈플러스는 보유한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활용하여 약 2조 원 내외의 자금 차입이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현재 보유 중인 약 4조 8,000억 원 규모의 부동산 자산에 일반적인 담보 인정 비율(LTV)을 적용한 결과라고 덧붙였습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