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 부동산 2.3조..절반 가량이 두 채 이상 보유

박남숙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9 13:27:33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이재명 정부가 실수요자 중심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강력한 규제책을 잇따라 내놓는 가운데, 고위 공직자 및 국회의원의 48.8%가 2채 이상의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국회의원을 비롯해 고위 관료 등 공무원(4급 이상) 2581명의 가족 재산공개 내역(최신 업데이트 기준)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건물 자산은 총 3조3556억원으로 전체 재산(5조7134억원)의 58.7%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공직자윤리법 제3조에 따라 재산등록 의무가 있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정무직공무원, 4급 이상 일반직 국가공무원, 공직유관단체 임원 등을 대상으로 했으며 본인, 배우자, 직계존·비속 명의 주거용 부동산을 망라했다. 아파트, 단독주택, 복합건물(주택+상가),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다가구주택 등이 포함됐고 전세(임차)권은 제외했다.

 

3채 이상 보유자는 17.8%(460명)에 달했으며 지역은 서울, 그 중에서도 특히 ‘강남 3구’에 집중되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비중이 단연 컸다. 전체 4527채 중 아파트는 2665채(58.9%)로 절반을 훌쩍 넘겼으며, 가액은 1조7750억원(76.7%)에 달했다. 이어 단독주택(16.6%), 복합건물(8.6%), 오피스텔(6.9%), 다세대·연립·다가구주택(합계 9.0%) 순이었다. 

 

특히 다주택자일수록 아파트 1~2채를 기본으로 두고 여러 단독주택과 오피스텔, 복합건물 등을 결합해 보유하는 경향이 뚜렷했다는 분석이다. 

 

(출처=리더스인덱스)

 

직군별 1인당 보유 주택 수를 보면 정부 고위관료가 1.89채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자체장이 1.87채, 지방의회와 공공기관·국책연구기관 공직자는 각각 1.71채 수준이었다. 

 

국회의원은 평균 1.41채였으며,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의원이 1.68채, 더불어민주당 1.33채, 조국혁신당 0.67채, 개혁신당·무소속·진보당 등 소수정당 및 무소속 의원은 평균 0.8채로 나타났다.

가액 기준으로는 정부 고위관료가 전체 공직자 주거용 부동산의 43.9%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직군별 1인당 평균 보유 주택 수는 정부 고위관료가 1.89채로 가장 많았다. 지자체장이 1.87채로 뒤를 이었고 지방의회와 공공기관·국책연구기관 공직자는 각각 1.71채를 보유했다. 국회의원의 평균 보유 주택 수는 1.41채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서울 소재 주택은 전체의 29.7%인 1344채였으며 가액 기준으로는 57.6%인 1조 3338억 원에 달했다. 특히 강남구(229채), 서초구(206채), 송파구(123채) 등 이른바 강남 3구에만 전체의 41.5%가 집중됐고 용산구가 74채로 뒤를 이었다.

조사 대상 중 최다 보유자는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이었다. 조 구청장은 본인 명의 강남구 아파트 1채, 고양시 오피스텔 38채, 속초시 오피스텔 1채에 더해 배우자 명의 강남구 복합건물 2채를 포함해 총 42채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강남 3구 중심 현상은 다주택자 상위권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났다. 박기창 주우크라이나 대사(17채 중 14채),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10채 중 9채), 성상헌 대전지검 검사장(7채 전부), 김상호 대통령비서실 비서관(7채 중 6채) 등이 대표적이다.

국회의원 중 최다 보유자는 박민규 의원(더불어민주당·관악갑)으로 13채를 보유하고 있다. 배우자 공동명의 서초구 아파트 1채와 관악구 오피스텔 11채, 충남 당진에 본인 명의 복합건물 1채 등이다.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에서도 다주택자가 적지 않았다. 상당수가 자신의 지역구에 다세대주택이나 오피스텔을 여러 채 보유한 것이 특징이다.

앞서 언급된 조성명 강남구청장(42채)과 양준모 부산시의원(32채), 정하용 경기도의원(17채)이 최상위권이고, 조영명 경남도의원(13채)과 성흠제 서울시의원(11채)이 뒤를 이었다.
 

정부부처 및 산하 기관에 몸담고 있는 공직자 중에선 앞서 언급한 강희경 제주대 부총장(31채), 박기창 주우크라이나 대사(17채) 외에도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10채), 조성직 국방전직교육원 원장(9채) 등이 두드러졌다.

유상임 장관은 서울 관악구 본인 명의 아파트 1채, 송파구에 배우자 명의 다세대주택 9채를 보유하고 있다.

 

국회의원 가운데 주택을 가장 많이 보유한 인물은 박민규 더불어민주당 의원(관악갑)으로 배우자 공동명의의 서초구 아파트 1채와 관악구 오피스텔 11채, 충남 당진의 본인 명의 복합건물 1채 등 총 13채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리더스인덱스는 “다주택자일수록 아파트 1~2채를 기본으로 두고 단독주택·오피스텔·복합건물을 결합해 보유하는 패턴이 뚜렷했다”며 “서울과 강남권에 부동산 집중 현상은 여전했다”고 분석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우리은행, 1710억 PF 정상화…“그룹 펀드로 살린 첫 구조조정형 모델”2025.11.19
삼성생명, 원금보장형 연금보험 출시…"납입 즉시 연금 수령 가능"2025.11.19
신한은행, 영업점서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 시행2025.11.19
금투협 차기 회장 선거, 서유석·이현승·황성엽 3파전2025.11.19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 2년 만에 상승..부동산 대책 '풍선 효과'로 '들썩'2025.11.19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