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마감] 코스피, AI 거품론 재점화에 3.79% 급락…3850선 추락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인공지능(AI) 거품 우려가 다시 불거지면서 국내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코스피는 전날 엔비디아 호실적으로 회복한 4000선을 하루 만에 내주고 3850대로 밀렸습니다.
2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51.59포인트(3.79%) 떨어진 3853.26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지수는 3908.70으로 출발해 하락 폭을 지속적으로 확대했습니다.
전날 코스피가 엔비디아의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 발표에 사흘 만에 4000선 재탈환에 성공했으나, AI 산업에 대한 거품 논란이 재차 제기되면서 하루 만에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리사 쿡 이사가 고평가된 자산시장의 조정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간밤 뉴욕증시 기술주가 급락한 여파가 국내 시장을 강타했습니다. 여기에 엔비디아의 매출 채권 급증으로 수익화 속도 저하 우려까지 겹치면서 반도체 대형주를 중심으로 매물이 쏟아졌습니다.
외국인이 2조8230억원을 순매도하며 급락을 주도했습니다. 개인은 2조2953억원을 순매수하며 낙폭을 제한했고, 기관도 4956억원 규모로 매수에 나섰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와반도체장비(-6.79%), 전기장비(-7.58%), 복합기업(-5.53%), 기계(-4.47%) 등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반면 건강관리업체및서비스(8.14%), 도로와철도운송(1.96%), 건축제품(1.32%), 다각화된통신서비스(1.20%) 등은 상승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SK하이닉스(-8.76%)가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고, 두산에너빌리티(-5.92%), 삼성전자(-5.77%), HD현대중공업(-4.80%), 삼성전자우(-4.37%), LG에너지솔루션(-3.51%) 등도 약세를 보였습니다. 기아(0.53%)만 유일하게 상승했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7.99포인트(3.14%) 내린 863.95에 장을 마쳤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이 2199억원을 순매수했으나,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71억원, 791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서는 코오롱티슈진(11.49%), 에이비엘바이오(0.85%), 리가켐바이오(0.34%) 등이 올랐습니다.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6.52%), 에코프로(-5.17%), 에코프로비엠(-4.82%) 등은 하락했습니다.
그럼 오늘의 특징주를 살펴보겠습니다.
![]() |
| (사진=비츠로넥스텍) |
비츠로넥스텍이 코스닥 시장 입성 첫날 공모가의 두 배에 가까운 가격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비츠로넥스텍은 공모가 6900원보다 5910원(85.65%) 뛴 1만2810원에 마감했습니다. 장중 한때 2만500원까지 치솟기도 했습니다.
우주 발사체 부품 전문업체인 비츠로넥스텍은 공모가를 희망 범위 상단인 6900원으로 최종 결정한 바 있습니다.
2016년 비츠로테크 특수사업부에서 분리돼 설립된 이 회사는 우주항공과 핵융합, 플라즈마 등 첨단 분야의 장비와 부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비츠로넥스텍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업계 내 입지를 다졌습니다. 누리호 엔진의 핵심 부품인 연소기와 가스 발생기 제작을 담당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 |
|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마련된 SK하이닉스 부스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4 실물이 전시돼있다. (사진=연합뉴스) |
반도체 양대 대형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AI 거품 논란 재점화로 동반 급락했습니다.
삼성전자는 5800원(5.77%) 하락한 9만4800원에, SK하이닉스는 5만원(8.76%) 떨어진 52만1000원에 각각 거래를 마쳤습니다.
엔비디아가 3분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공개했음에도, 미수금이 예상보다 크게 늘어나면서 하이퍼스케일러들의 수익성에 의문이 제기됐습니다.
대규모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들의 수익성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향후 엔비디아 매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리사 쿡 연준 이사가 20일(현지시각) 조지타운대 강연에서 "고평가된 자산 가격의 하락 가능성이 커졌다는 인상을 받는다"고 발언한 것도 AI 고평가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