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실적 몰두한 왜곡된 경쟁"…금감원 경고 무시하던 빗썸, 결국 간담회 패싱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1 18:46:40
  • -
  • +
  • 인쇄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가진 가상자산 업계와의 간담회에 국내 시장 점유율 2위인 빗썸이 제외됐다.


금융당국의 자제 요청에도 고위험 상품으로 지적된 '렌딩 서비스'를 강행하며 마찰을 빚어온 것이 결국 '패싱'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찬진 금감원장은 지난달 30일 두나무(업비트), 코빗, 코인원 등 10개 주요 가상자산사업자(VASP) 최고경영자(CEO)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원장 취임 이후 가상자산 업계와 갖는 첫 공식 소통 자리였지만, 국내 거래량의 30% 가까이를 차지하는 빗썸은 초청받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빗썸이 렌딩 서비스를 둘러싸고 금융당국과 대립해온 것이 이번 불참의 배경이라고 보고 있다.

앞서 금감원은 가이드라인 마련 전까지 가상자산 렌딩 서비스의 자제를 요청했으나, 대부분의 거래소들이 이를 수용한 것과 달리 빗썸은 영업을 지속하며 당국과 대립각을 세워왔다.

렌딩 서비스는 이용자가 보유한 가상자산을 담보로 다른 가상자산을 빌려 투자하는 것으로, 사실상의 공매도와 유사해 시장 변동성을 키운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금감원은 행정지도에도 빗썸이 신규 영업을 계속하자 현장 점검 등 제재 가능성을 시사하며 경고하기도 했다.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도 지난달 23일 빗썸이 자율규제안을 위반했다며 경고 조치를 내렸다.

빗썸은 이후 지난달 24일 렌딩 대여 한도를 기존 담보금의 200%에서 85% 수준으로 대폭 낮추며 사실상 백기를 들었다.

빗썸은 이번 간담회뿐만 아니라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와 당국이 함께 진행한 렌딩 서비스 가이드라인 논의에서도 사실상 배제된 상태였다.

이날 간담회에서 나온 이 원장의 발언 역시 빗썸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이 원장은 "과도한 이벤트, 고위험 상품 출시 등 단기 실적에만 몰두한 왜곡된 경쟁"을 지적하고 "인적 오류나 관리 소홀 등에 따른 '먹통 사태'가 지속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는 빗썸의 렌딩 서비스, 최근 추진한 해외 거래소와의 호가창 공유, 지난달 발생한 서버 접속 장애 사태 등을 지적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1일 빗썸 본사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빗썸이 지난달 22일 호주 거래소 스텔라와 오더북(호가창)을 공유한 절차가 특정금융정보법상 적정했는지가 조사의 초점이다.

FIU는 인허가 서류 제출 여부와 고객 신원확인(KYC) 체계, 자금세탁방지 장치 등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아파트 저층 세대와 고층 세대 매매가 차이 최대 2배2025.10.01
서울 노후 공공임대 주택 재건축 2만여 채 착공 추진2025.10.01
[마감] 코스피, 美 셧다운에도 금리인하 기대감에 3450선 회복2025.10.01
이승건 토스 대표, 카카오톡 구성원 겨냥…”팀원을 외부로 내몰거나 조롱”2025.10.01
추석 연휴 공항 총파업, 500만명 이용객 발길 멈추나2025.10.01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