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6일 사법부의 일부 행위에 대해 "비정상적인 사법부 행위에 대해 파헤치고 진상이 드러나야 하지만, 복수하고 보복하듯이 보이는 것은 올바른 방식은 아니다"라며 "국민이 납득하고 좋아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정의롭다고 해서 늘 지혜로운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우 수석은 이날 한국방송(KBS) 라디오에 출연하여 지난 5월 1일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당시 대통령선거 후보의 선거법 위반 사건을 파기 환송한 결정에 대해 "조희대 대법원장이 당시 유력한 야당 후보를 대통령선거에 출마하지 못하도록 판결을 내린 것은 이해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귀연 판사가 내란수괴(윤석열 전 대통령)를 풀어줘서 거리에 활보하게 한 것도 이해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는 향후 여당과 대통령실이 협력하여 개혁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우 수석은 "개혁하지 않을 수는 없다"면서도, "중도진영, 합리적 보수진영에 계신 분들 가운데서는 ‘개혁하는 것은 좋은데, 싸우듯이 하는 것은 불편하고 피곤하다’며 피로를 얘기하는 분들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국민의 사랑을 받고,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접근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현재 민심에 대해 "'여권이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그런데 세상이 조금 시끄럽다'는 게 총평으로 보인다. 시끄럽지 않게 개혁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최근 논란이 된 검찰의 보완수사권 폐지 문제에 대해서는 "이재명 대통령은 수사와 기소 분리가 이뤄졌으니 앞으로는 국민 입장에서 물 흐르듯, 탈이 나지 않게 시스템 개혁이 흘러가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라고 소개했다.
우 수석은 이재명 대통령이 정무수석에게 가장 많이 질문하는 내용에 대해 "'당이 왜 저런 결정을 내렸나'라는 질문을 가장 많이 한다"며, "대통령이 당에 간섭하지 않다 보니 (당 결정의) 배경을 알고 싶어한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대통령의 생각을 여당에 전달할 때 당이 곤혹스러워하는 경우가 있다며, 더불어민주당의 입장이나 취지에 동의하지만 가끔 대통령실과 여당 사이에 속도나 온도 차이가 발생해 고민할 때가 있다고 토로했다.
수사·기소 분리와 관련 특검 검사들이 원대복귀 입장을 낸 데 이어 내란 특검 검사들도 법정에 검은색 정장과 타이를 착용하고 출석한 것에 대해 "반발이라기보다는 수사·기소 분리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저 정도 해프닝은 모른 척하고 지나가는 것이 바르다고 본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상진 기자(ce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