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빅테크 '무임승차' 논란…망 이용대가 해법 시급 : 알파경제TV

영상제작국 / 기사승인 : 2025-04-11 19:37:38
  • -
  • +
  • 인쇄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국내 트래픽 급증과 함께 망 이용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무임승차'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국내 인터넷망에 대한 '공유지의 비극'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구글은 국내 트래픽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면서도 망 이용대가를 내지 않고 있어 비판의 중심에 섰습니다.

전문가들은 구글이 부담해야 할 적정 망 이용대가가 연간 2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런 빅테크와 통신사 간의 갈등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으로, 개별적인 법정 다툼보다는 법제도 정비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변상규 호서대 교수는 최근 국회 토론회에서 "국내로 유입되는 트래픽이 급증하면 통신사는 국제 회선료, 전용선 추가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글로벌 콘텐츠 사업자가 자체 캐시 서버를 구축해도 국내 망에서 전송되는 트래픽이 급증하면 망 증설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변 교수는 또 "빅테크의 인터넷 트래픽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며 "다량의 트래픽을 유발하는 동영상 서비스 이용 시간 증가로 앞으로도 트래픽 증가 요인은 충분하다"고 전망했습니다.

실제로 구글의 일평균 트래픽은 2020년 25.9%에서 2023년 30.6%로 증가했으며, 넷플릭스와 메타 역시 같은 기간 각각 4.8%에서 6.9%, 3.2%에서 5.1%로 늘어났습니다.

변 교수는 한국방송학회 연구를 인용, 구글이 국내에 지불해야 할 망 이용료가 2000억 원 규모에 이른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구글의 2022년 추정 매출액 10조 5000억 원의 약 2%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네이버와 카카오와 유사한 규모입니다.

변 교수는 "글로벌 빅테크의 망 이용료 무임승차는 인터넷을 공공재화처럼 소비하도록 만들어 사회적으로 합당한 수준의 인터넷 소비를 저해하고, 장기적으로 공유지의 비극을 초래해 생태계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이어 "글로벌 빅테크의 망 무임승차 문제가 기업 간 갈등이나 시장 지배력에 의해 좌우되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법·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주요기사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해킹 사고 사과…"피해 전액 보상 약속" : 알파경제TV2025.09.06
위기의 골프존, 쏟아지는 매물…"8일부터 양수도 플랫폼 등록 의무화 갑질(?)" : 알파경제TV2025.09.06
롯데카드, 해킹 사고 17일 뒤 금감원 늑장 신고…"카드정보 유출 추정" : 알파경제TV2025.09.04
허윤홍 GS건설 대표 “청계리버뷰자이 근로자 추락사…머리 숙여 사죄” : 알파경제TV2025.09.04
빗썸, 또다시 전산 장애 발생…반복되는 사고에 투자자 불만 고조 : 알파경제TV2025.09.04
뉴스댓글 >